암연구소 소개

연구실 소개

췌장담도계종양 연구실

Laboratory of Pancreatic Biliary Tumor
췌장암 및 담도계암은 타 암종에 비해 발생률은 낮은 편이지만, 예후가 안 좋고 2030년에는 암으로 인한 사망 원인 가운데 2번째로 흔한 원인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실은 췌장암과 담도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바이오뱅크를 수립하여 췌장 및 담도에 발생하는 종양 조직과 정상 조직 뿐만 아니라, 혈액 소변, 대변 등의 인체 시료를 수집하여, 이를 이용해 유전체, 단백체를 비롯한 다중 오믹스 분석, 조기 진단 및 표적 치료제 개발을 위한 바이오마커 규명, 실제 환자를 대체할 수 있는 in-vitro 및 in-vivo 모델 수립 등을 하고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및 통계학과와의 협업을 통해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는 임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딥러닝 기반의 예후 예측 모델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아주대학교의 기초 연구실과 오랜 시간 공동 연구를 진행하여 2023년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Nature cancer에 췌장암 관련 연구를 싣기도 하였다. 이에 나아가, 미국, 일본, 스웨덴, 네덜란드, 이탈리아, 인도, 칠레 등 국제 유수의 센터들과 공동 연구를 수행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도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제 치료 가이드라인 제정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할 정도로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췌담도계종양 연구실로 자리잡고 있다.
참여 연구원
장진영

장진영 교수

  • 소속 : 외과학교실
  • 전공 : 소화기외과
  • 메일 : jangjy4@snu.ac.kr
연구내용

[Basic & Translational research]
1. 유전체, 단백체, 인산화 데이터를 통합한 다중오믹스 분석을 바탕으로 임상적 예후를 반영하는 췌장암의 서브타입을 분류하고,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중 오믹스 서브타입을 예측하기 위한 딥러닝 모델 개발
2. 전향적 췌장암 코호트의 액체 생검 결과를 바탕으로 비침습적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한 파이프라인 구축
3. 췌장암 조기 진단을 위한 멀티마커패널의 개발 및 대규모 임상 데이터를 통한 검증
4. 담도계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발굴 및 검증
5. 췌장암 및 담도계암의 종양미세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In-vitro model (Organoid – Cancer associated fibroblast co-culture system), In-vivo model (Patient-derived xenograft) 구축 및 이를 활용한 다양한 항암제 감수성 평가
[Clinical]
1. 췌장암의 전구병변인 췌관 내 유두상 점액종양의 자연 및 수술 후 경과에 대한 규명 및 국제 치료 가이드라인 제정
2. 세계 최초로 경계성 절제 가능 췌장암에서 선행항암치료의 우월성을 확인한 국내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절제 가능 췌장암에서 선행항암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국제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시행 중
3. 국제 다기관 연구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논란이 있어온 담낭암의 최적의 수술 범위에 대한 해답을 일부 제시하였으며, 담낭암 최대 호발 국가인 한국-일본의 다기관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담낭암 연구를 시행 중으로 아시아 실정에 맞는 치료 지침 제정 계획 중

연구목표
병기가 진행될수록 완치 목적의 수술적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줄어들고 생존율이 급격히 나빠지는 췌장암 및 담도계암의 치료 성적 향상은 조기 병변일 때의 발견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를 위해, 좀 더 정밀하고 예측력이 높은 조기 진단 알고리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조기 진단 키트의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다. 또한, 같은 병기의 암종이고 같은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고 하더라도 수술 후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 반응성이 달라 생존율이 달라지므로, 임상 데이터 및 분자생물학적 데이터를 이용한 환자 개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정밀 의학 (Precision medicine) 을 췌장암 및 담도계암에도 적용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세계 유수의 연구 기관과도 긴밀한 네트워킹을 유지, 국제 공동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각 암종에 대한 예후를 결정짓는 유전자 규명에 대한 연구, 이를 이용한 표적 치료제 (Targeted agent) 개발에 가장 앞장서는 세계 일류의 췌장담도계종양 연구실이 되도록 양질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성과
[Basic & Translational research]
1. Hyeon DY, Nam D, Han Y, Kim DK, Kim G, Kim D, Bae J, Back S, Mun DG, Madar IH, Lee H, Kim SJ, Kim H, Hyun S, Kim CR, Choi SA, Kim YR, Jeong J, Jeon S, Choo YW, Lee KB, Kwon W, Choi S, Goo T, Park T, Suh YA, Kim H, Ku JL, Kim MS, Paek E, Park D, Jung K, Baek SH, Jang JY, Hwang D, Lee SW. Proteogenomic landscape of human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in an Asian population reveals tumor cell-enriched and immune-rich subtypes. Nat Cancer. 2023 Feb;4(2):290-307. doi: 10.1038/s43018-022-00479-7. Epub 2022 Dec 22. PMID: 36550235.
2. Lee JS, Han Y, Yun WG, Kwon W, Kim H, Jeong H, Seo MS, Park Y, Cho SI, Kim H, Kim JY, Seong MW, Jang JY, Park SS. Parallel Analysis of Pre- and Postoperative Circulating Tumor DNA and Matched Tumor Tissues in Resectable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A Prospective Cohort Study. Clin Chem. 2022 Dec 6;68(12):1509-1518. doi: 10.1093/clinchem/hvac153. PMID: 36177751.
3. Son M, Kim H, Han D, Kim Y, Huh I, Han Y, Hong SM, Kwon W, Kim H, Jang JY, Kim Y. A Clinically Applicable 24-Protein Model for Classifying Risk Subgroups in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s using Multiple Reaction Monitoring-Mass Spectrometry. Clin Cancer Res. 2021 Jun 15;27(12):3370-3382. doi: 10.1158/1078-0432.CCR-20-3513. Epub 2021 Feb 16. PMID: 33593883.
4. Kim Y, Yeo I, Huh I, Kim J, Han D, Jang JY, Kim Y. Development and Multiple Validation of the Protein Multi-marker Panel for Diagnosis of Pancreatic Cancer. Clin Cancer Res. 2021 Apr 15;27(8):2236-2245. doi: 10.1158/1078-0432.CCR-20-3929. Epub 2021 Jan 27. PMID: 33504556.
5. Pandey A, Stawiski EW, Durinck S, Gowda H, Goldstein LD, Barbhuiya MA, Schröder MS, Sreenivasamurthy SK, Kim SW, Phalke S, Suryamohan K, Lee K, Chakraborty P, Kode V, Shi X, Chatterjee A, Datta K, Khan AA, Subbannayya T, Wang J, Chaudhuri S, Gupta S, Shrivastav BR, Jaiswal BS, Poojary SS, Bhunia S, Garcia P, Bizama C, Rosa L, Kwon W, Kim H, Han Y, Yadav TD, Ramprasad VL, Chaudhuri A, Modrusan Z, Roa JC, Tiwari PK, Jang JY, Seshagiri S. Integrated genomic analysis reveals mutated ELF3 as a potential gallbladder cancer vaccine candidate. Nat Commun. 2020 Aug 24;11(1):4225. doi: 10.1038/s41467-020-17880-4. PMID: 32839463; PMCID: PMC7445288.
[Clinical]
1. Kim HS, Han Y, Kang JS, Choi YJ, Byun Y, Kim H, Lee KB, Kim H, Kwon W, Jang JY. Fate of Patients With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of Pancreas After Resection According to the Pathology and Margin Status: Continuously Increasing Risk of Recurrence Even After Curative Resection Suggesting Necessity of Lifetime Surveillance. Ann Surg. 2022 Oct 1;276(4):e231-e238. doi: 10.1097/SLA.0000000000004478. Epub 2020 Sep 15. PMID: 32941274.
2. Kang JS, Choi YJ, Byun Y, Han Y, Kim JH, Lee JM, Sohn HJ, Kim H, Kwon W, Jang JY. Radiological tumour invasion of splenic artery or vein in patients with pancreatic body or tail adenocarcinoma and effect on recurrence and survival. Br J Surg. 2021 Dec 17;109(1):105-113. doi: 10.1093/bjs/znab357. PMID: 34718433.
3. Kwon W, Kim H, Han Y, Hwang YJ, Kim SG, Kwon HJ, Vinuela E, Járufe N, Roa JC, Han IW, Heo JS, Choi SH, Choi DW, Ahn KS, Kang KJ, Lee W, Jeong CY, Hong SC, Troncoso AT, Losada HM, Han SS, Park SJ, Kim SW, Yanagimoto H, Endo I, Kubota K, Wakai T, Ajiki T, Adsay NV, Jang JY. Role of tumour location and surgical extent on prognosis in T2 gallbladder cancer: an international multicentre study. Br J Surg. 2020 Sep;107(10):1334-1343. doi: 10.1002/bjs.11618. Epub 2020 May 26. PMID: 32452559.
4. Jang JY, Han Y, Lee H, Kim SW, Kwon W, Lee KH, Oh DY, Chie EK, Lee JM, Heo JS, Park JO, Lim DH, Kim SH, Park SJ, Lee WJ, Koh YH, Park JS, Yoon DS, Lee IJ, Choi SH. Oncological Benefits of Neoadjuvant Chemoradiation With Gemcitabine Versus Upfront Surgery in Patients With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Open-label, Multicenter Phase 2/3 Trial. Ann Surg. 2018 Aug;268(2):215-222. doi: 10.1097/SLA.0000000000002705. PMID: 29462005.
5. Han Y, Lee H, Kang JS, Kim JR, Kim HS, Lee JM, Lee KB, Kwon W, Kim SW, Jang JY. Progression of Pancreatic Branch Duct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Associates With Cyst Size. Gastroenterology. 2018 Feb;154(3):576-584. doi: 10.1053/j.gastro.2017.10.013. Epub 2017 Oct 23. PMID: 29074452
구성원
성명 소속 직급
장진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교수
권우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임상부교수
김홍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임상조교수
서영아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 의생명연구원 연구원
이아름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 의생명연구원 연구원
주은진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 의생명연구원 연구원
연구실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