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연구소 소개

연구실 소개

방사선종양학 및 방사선생물학 연구실

Laboratory of Radiation Oncology & Radiation Biology

본 연구실은 1987년 故 하성환 교수에 의해 설립되어 기초 방사선 생물학 및 중개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방사선 치료 효과의 극대화와 방사선으로 인한 정상 조직 손상의 최소화를 최종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고선량 방사선을 이용한 심장 부정맥 조절과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관절염 치료 가능성 등 암이 아닌 다른 질환에서의 방사선 역할에 대한 연구도 수행 중에 있다.

본 연구실의 연구진은 책임교수 우홍균 교수를 비롯하여 김학재 교수, 장지현 교수, 이주호 교수, 김병혁 교수의 교수진과 전상록 연구원, 서수연 연구원, 이선화 연구원 및 석박사 과정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참여 연구원
우홍균

우홍균 교수

  • 소속 : 방사선종양학교실
  • 전공 : 방사선종양학 (방사선치료) - 두경부암 - 흉부암 (폐암, 흉선종)
  • 메일 : wuhg@snu.ac.kr
이주호

이주호 교수

  • 소속 : 방사선종양학교실
  • 전공 : 뇌신경계암,소아암,폐암,두경부암
  • 메일 : jooholee@snu.ac.kr
김학재

김학재 교수

  • 소속 : 방사선종양학교실
  • 전공 : 폐암, 식도암, 흉선암, 육종
  • 메일 : khjae@snu.ac.kr
연구내용

  • 방사선치료 효과 극대화 연구 분야
EGF pathway에 의한 paradoxical cell death 기전 연구
뇌교모세포종의 신경줄기세포 기반 재발 모델 개발 및 기전 연구
치료 저항성 뇌종양에서 방사선치료 극대화 약물 후보 개발 연구
방사선 유발 육종 세포주 확립을 통한 자연 유발 육종 세포주와의 종양학적 특성 및 항암치료 반응 비교 연구
  • 종양 발생 기전 및 신경줄기세포 연구
뇌교모세포종의 신경줄기세포 기반 재발 과정 연구
뇌실하지역의 신경줄기세포의 분화와 면역세포 감시 연구
  • 방사선치료 합병증 극복을 위한 연구 분야
방사선유발 식도염의 발병 기전 연구 및 EGF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
프로바이오틱스에 의한 장내 미생물 군집 변화 유도 및 방사선 유발 장염 조절 기전 연구
방사선 신경 독성 극복 치료제 개발 연구
  • 종양 외 질환 및 기초 방사선 생물학 연구 분야
고에너지 방사선을 활용한 심장 부정맥 치료 기술 개발 연구
방사선 조사에 의한 염증 및 면역 반응과 방사선 유발 육종과의 관계에 대한 유전체 분석 연구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 치료 국내 도입을 위한 전임상 연구

연구목표
기존 연구 영역인 난치성 암 분야에서 방사선치료 효과 증진을 위한 연구를 지속 수행하면서, 심장 부정맥, 관절염 등에서의 방사선의 역할 규명 및 FLASH 와 같은 새로운 방사선을 이용한 기초 연구를 통해 방사선 연구 영역을 확장시킬 계획이다. 또한 종양발생기전과 신경줄기세포 분화에 근거한 치료전략 개발 연구와 같은 기초중개 종양학 연구도 포함하여 최적의 암치료전략을 발굴하는 교두보가 되는 연구실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방사선 생물학 및 중개종양학 연구의 차세대 연구자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이런 연구들을 통해 방사선 생물학 분야 차세대 연구자를 꾸준히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연구성과
Identification of Genes Involved in EGF-induced Apoptosis Using CRISPR/Cas9 Knockout Screening: Implications for Novel Therapeutic Targets in EGFR-Overexpressing Cancers. Kim JS, Lee JH et al. Cancer Res Treat. 2023

Chemoradiation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Jang BS, Chang JH, Chie EK, Kim K, Park JW, Kim MJ, Song EJ, Nam YD, Kang SW, Jeong SY, Kim HJ.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20

Heart substructural dosimetric parameters and risk of cardiac events after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for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Jang BS, Cha MJ, Kim HJ, Oh S, Wu HG, Kim E, et al. Radiother Oncol. 2020

Gut Microbiome Composition Is Associated with a Pathologic Response After Preoperative Chemoradiation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Jang BS, Chang JH, Chie EK, Kim K, Park JW, Kim MJ, et 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20

Identification of FES as a Novel Radiosensitizing Target in Human Cancers. Kim BH, Kim YJ, Kim MH, Na YR, Jung D, Seok SH, Kim J, Kim HJ. Clin Cancer Res. 2020

RadiosensitizationofGlioblastomaCellsbyaNovelDNAMethyltransferase-inhibitingPhthalimido- Alkanamide Derivative.WeeCW,Kim JH, Kim HJ, Kang HC, SuhSY,Shin BS, Ma E, Kim IH. Anticancer Res. 2019

A phthalimidoalkanamide derived novel DNMT inhibitor enhanced radiosensitivity of A549 cells by inhibition of homologous recombination of DNA damage. Kang HC, Chie EK, Kim HJ, Kim JH, Kim IH, Kim K, Shin BS, Ma E. Invest New Drugs. 2019

Disulfiram, a Re-positioned Aldehyde Dehydrogenase Inhibitor, Enhances Radiosensitivity of Human Glioblastoma Cells In Vitro. Koh HK, Seo SY, Kim JH, Kim HJ, Chie EK, Kim SK, Kim IH. Cancer Res Treat. 2019

Differential effect of GLUT1 overexpression on survival and tumor immune microenvironment of human papilloma virus type 16-positive and -negative cervical cancer. Kim BH, Chang JH. Sci Rep. 2019

Human glioblastoma arises from subventricular zone cells with low-level driver mutations. Lee JH, Lee JE et al. Nature. 2018
구성원
성명 소속 직급
우홍균 서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교실 교수
김학재 서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교실 교수
이주호 서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교실 교수
장지현 서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교실 교수
김병혁 서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교실 교수
김경수 서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교실 교수
전상록 서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교실 연구원
서수연 서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교실 연구원
이선화 서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교실 연구원
연구실사진